1. AWS 서비스 종류
- 한대의 독립된 컴퓨터를 제공하는 EC2
- 파일 서버인 S3
- 데이터베이스 서버인 RDS
2. AWS를 제어하는 세가지 방법
1) CLI : Command Line Interface
2) SDK : Software Development Kit의 약자, 각 언어(java,python, PHP) 별로 AWS를 프로그래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API의 묶음
3) AWS Management Console : 웹 서비스를 통해서 접속하는 방식, 웹을 통해 접속하기 때문에 어디서든 접속 가능
3. Elastic Compute Cloud(EC2)
정의 :
컴퓨터를 임대해주는 것, 이 곳에 선호하는 운영체제를 설치하고, 웹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(웹서버, 데이터베이스 등)을 설치하면 된다. AWS에서는 인터넷을 통해서 이 컴퓨터에 접속 할 수 있는 URL을 제공
사용법:
1) 인스턴스 생성 : EC2 인스턴스에 원격으로 접속 할 때 사용하는 비밀번호와 같은 역할을 Key 보관 필요, 만약 분실 시
인스턴스를 이미지로 만들고 해당 이미지로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한다.
2) 인스턴스 접속 : 인스턴스에 접속 할 떄는 SSH라는 방법을 이용
-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인스턴스에 접근 할 수 있는 URL을 알아야 하고, 두번쨰로는 인스턴스를 제어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가 필요하다.
- PUTTY와 인스턴스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 (.pem 은 puttygen을 이용하여 변환 필요)
3) 웹서버 설치 : 웹서버인 Apache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SSH를 이용해서 인스턴스에 접근
sudo yum update // 1
curl -o-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creationix/nvm/v0.32.0/install.sh | bash //2. nvm (노드버전관리자)설치
. ~/.nvm/nvm.sh //3. nvm 활성화
nvm install 4.45 // 4. node.js 버전 설치
node -e "console.log('Running Node.js ' + process.version)" // 5. Node.js 실행 테스트
'Dev > 보이스피싱 방지 프로젝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-Vector 와 d-Vector 비교 (0) | 2019.08.15 |
---|---|
화자인식(Speaker Recognition) 기술 및 관련 연구 (0) | 2019.08.15 |
[OpenSource] Voice Recognition Github 자료 (0) | 2019.08.15 |
[화자인식] Speaker Recognition 기술 정리 (0) | 2019.08.08 |